포럼 정보

발표 자료

토론 질문

공통질문

1) 내가 생각하는 (각 회사에서 바라보는) '커뮤니티'의 정의는?

 

  • 함께 정리한 소셜이슈 커뮤니티 정의로 대신했어요.

2) 사람들이 '문토/빠띠/빌라선샤인'의 커뮤니티에 오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 자기 이슈를 가지고 그 이슈를 해결하고 싶어하는 활동가분들이 주로 오시는 것 같아요. 그 이슈에 대해 조직이나 단체에서 해결할 수도 있지만, 가끔 다른 접근을 해보고 싶기도 하잖아요. 같은 소셜이슈를 가진 사람들이 좀 더 민주적이고 개방적인 커뮤니티의 방식으로 그 문제를 해결하고 싶을 때요. 이런 점에서 스타일이나 코드가 비슷한 사람을 찾아 오는 것 같기도 하고요.

2-1) 각 서비스의 한계는 무엇인가요?

 

  • 한계라기보다는 아직 하나의 모델을 아직 정립해가는 중인 것 같아요. 시행착오도 많이 겪고 있고, 오늘 말씀드린 정의나 스타일도 10월쯤인가에 101모임이라는 분들과 이제 막 만들어가는 실험적인 단계에요. 우선 여기에 공감하고 함께 만들고 싶어하는 분들이 많아졌으면 좋겠네요.

3) 커뮤니티 활동을 활성화하고, 지속가능한 커뮤니티로의 성장을 돕기 위한 공공의 역할은 무엇일까요?

 

  • 개인적인 생각이지만, 커뮤니티 지원은 각 커뮤니티를 개별적으로 지원하는 것은 한계가 있는 것 같아요. 커뮤니티가 가지고 있는 속성은 참여가 자율적이고, 없어졌다가 생겼다 하는 게 자연스러우니까요. 그것보다는 커뮤니티의 커뮤니티를 형성한다는 관점에서 접근해볼 수 있지 않을까 해요. 커뮤니티들이 모여 공동의 거버넌스와 공공재를 같이 생산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더 중요한 것 같아요.

개별질문

빠띠) 보통 리더가 없는 경우, 모임이 흐지부지 되는 경우가 많이 있는데, 구체적으로 운영되는 방식, 그리고 그 방식을 택했을 때 타 커뮤니티에서 발견되지 않는 성과가 있는지요?

 

  • 발표 내용 중 버터나이프크루로 말씀드렸던 거버넌스구조 중에 메인테이너라는 역할이 있어요. 리더를 어떻게 정의하느냐에 따라 다를 것 같은데, 리더랑 메인테이너에 미세한 차이가 있는 것 같아요. 저희도 정답은 아니고요. 리더는 지키는 사람보다는 지시를 내리는 사람인 것 같고, 메인테이너는 사람들이 이런저런 제안들을 했을 때 커뮤니티의 방향을 정의하고 지키는 사람인 것 같아요. 메인테이너가 맘에 안들면 손 쉽게 그 커뮤니티를 떠날 수 있다는 것도 조금 다른 부분인 것 같고요.

인사이트

소년

  • 문토, 빌라선샤인 같은 커뮤니티 서비스에서는 오거나이저, 메인테이너를 오퍼레이터라고 부르고 '오퍼레이션 비용'이라는 말을 쓰더라고요. 커뮤니티를 관리하고 운영하는 오퍼레이션 비용이 들기 때문에 이것을 운영진이 대신 해주고 비용을 받는 구조라고요.
  • 포럼 중 공공에서는 왜 돈을 주는대도 사람들이 모이지 않고, 민간에서는 사람들이 돈을 내고도 커뮤니티에 참여하는 걸까요? 라는 질문이 나왔는데요.
    • 커뮤니티는 경험재이기 때문이다. 사람들은 돈을 내고 원하는 경험을 커뮤니티에서 얻어간다. 그렇기 때문에 커뮤니티의 가장 기본적인 경험을 어떻게 설계하고 적용하느냐가 운영의 중요 요소이다. 비즈니스모델을 정의할 때 고객 여정 지도를 그리는 것 처럼, 커뮤니티 여정 지도(참여자가 커뮤니티를 알게되고, 처음 들어올때부터 나갈 때까지의 경험을 설계한 지도)가 필요하다.
    • 는 이야기가 인상적이었어요.
  • 커뮤니티 서비스는 재등록율(리텐션율)을 성공한 커뮤니티를 평가할 수 있는 중요한 지표로 삼더라고요.
  • '커뮤니티 사업은 시장을 최대한 구체화 시켜서 독점하는 것' 이라는 말도 인상적이었어요. 커뮤니티 서비스 운영진들끼리는 고객이 여러 커뮤니티 서비스를 동시에 참여하고 있다는 걸 알고 있대요. 근데 괜찮다고 하네요. 어차피 여러 개 돌아보고 자신에게 가장 잘 맞는 커뮤니티 서비스에 정착한대요. 이렇게 정착한 고객은 재등록율이 아주 높고요. 반대로 이런 특성 때문에 확장성에 한계가 있다는 지적도 받고 있나봐요. 대규모 투자가 드물다고 하네요.
  • 또, 커뮤니티 서비스에서도 커뮤니티 운영 관리는 오퍼레이션 비용이 참 많이든다는 얘기를 한대요. 공공의 커뮤니티 매니저들이 소통이 너무 많아, 어떻게 이 많은 걸 다 신경쓰지? 라며 현타가 오는 것 처럼요. 빌라선샤인은 오퍼레이터 1명 당 커버 가능한 커뮤니티 규모를 실험하고 있다고 하네요. 몇 명일까요? 궁금.
  • 공공과 민간 둘다 오퍼레이션, 오거나이징 경험, 노하우가 이제 막 쌓이고 있는 시기인 것 같다는 생각도 들었어요. 각자의 경험은 많아지는데 이걸 쌓거나 교류할 만한 자리는 적은? 커뮤니티 오거나이저 아카데미를 만들면 어떨까 싶기도 했어요. ㅎㅎ 그 자리에 200명 넘는 사람이 신청해서 자리가 없었거든요. 대부분 무중력지대를 포함한 커뮤니티 지원 사업 매니저, 기관 사람들이라고 하더라고요.
작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