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여학생회 폐지를 투표로 결정하는 것을 좀 더 찾다보니, 이런 이야기도 보여서 가져와봤어요. 절차적 민주주의가 민주주의의 전부는 아니라는 것. 어려서부터 배우는 상식 같은 건데 실상은 만나기 쉽지 않긴 한 것 같아요. 그런가 하면, 절차적 민주주의 조차도 잘 안 되는 곳들도 많고... 

추진단은 이 과정에서 ‘민주주의의 언어’를 선점한다. 특히 절차와 정당성이라는 개념은 이들에게 중요한 동력이 되었다. 추진단이 5월25일 발표한 입장문을 보면 “(우리는 이번 문제를) 학생 사회의 의결 절차 및 민주적 정당성에 관한 문제로 인식한다”라고 규정했다. “앞으로 대화를 인권운동 문제로부터 명확하게 분리하여 민주적 의결 구조 위주로 논의할 것을 총여학생회에 요구”한다는 대목도 이들의 방법론을 보여준다. 혐오·차별·인권 같은 추상적 논쟁 대신 절차적 민주주의라는 기계적 잣대가 우선한다는 주장이다.

....

연세대 총투표 사태는 이런 일부 남성들이 직접 조직화에 성공하고 다수를 확보해 정치적으로 제도를 뒤엎은 상징적인 사건이다. 성평등을 ‘인권’으로 희석하고, 폐지를 ‘개편’으로 내거는 방식은 연세대뿐 아니라 앞으로 한국 사회 전반에서 발견될 가능성이 높다. 김영희 연세대학교 젠더연구소 소장(국어국문학과 교수)은 “백래시는 표면적으로 혐오와 반격의 뉘앙스를 풍기기만 하는 게 아니라 때때로 인권·민주주의·평등·효율성·절차적 공정성 같은 것을 명분으로 내세우기도 한다”라고 말했다.

https://www.sisain.co.kr/?mod=news&act=articleView&idxno=321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