Ⅵ.거버넌스 구축을 위한 문제해결 실험장

‘실험장’은 함께 해결해야 할 문제가 정해진 다음 일정 기간 동안 직접 문제해결을 해보는 활동입니다. 앞서 진행 된 제안 발굴, 의제 선정, 실험장 의제선정 과정을 통해 정해진 하나의 주제와 관련된 여러 세부 계획을 세울 수도 있고, 지속성 프로젝트와 일회성 행사 등을 조화롭게 병행하여 꾸려나갈 수도 있습니다. 거버넌스를 구축하여 실험장을 진행함으로써, 실험장 기간 동안 거버넌스를 더욱 확장하거나 공고히 해 가며 문제 해결을 함께 해 보는 경험을 쌓을 수 있습니다.

Ⅵ.1. 기획

  • 목표설정

    • 최종 선정된 제안이 거버넌스의 목표에 맞게 운영되게끔 목표를 설정합니다.

    • 시민제안, 열린토론회 등 시민들의 의견도 목표에 최대한 반영합니다.

    • 실험장 진행 및 결과 평가를 위한 기준을 마련합니다. (정성평가/정량평가)

  • 선정된 의제에 맞추어 실험장 계획서와 예산안을 작성합니다.

    • 주차별, 실험 세부내용 별 구체적인 계획을 작성하고 그에 따른 예산을 작성합니다.

    • 실험장을 통해 도출하고자 하는 산출물과 기대 성과를 목록으로 작성합니다.

  • 실험장 운영을 위해 필요한 체크리스트를 마련합니다.

    • 앞서 분담된 역할, 주차별 계획이 원활하게 진행될 수 있도록 체크리스트를 작성합니다.

      • 공동작업이 가능한 구글 문서 혹은 빠띠 그룹스 위키 기능을 활용합니다.

      • 실행팀 회의시 체크리스트를 확인하며 현황 및 계획을 점검합니다

  • 실험장 운영을 위해 필요한 “실행팀”을 꾸리고 역할분담을 합니다.

    • 거버넌스 구성원을 중심으로 실행팀 필요 인력을 정하고, 역할 분담을 합니다.

      • 예시: 홍보 담당, 기록 담당, 예산 담당 등

    • 필요하다면, 실험장의 주제에 따라서 전문가의 컨설팅, 자문을 받습니다.

  • 진행상 참가자 모집이 필요할 시, 참가자 범위를 산정하고 모집합니다.

    • 지역별, 주제별로 가용한 자원을 찾습니다.

      • 지역에 활성화된 커뮤니티가 있다면 협조를 요청합니다.

      • 온라인에 관련 주제 커뮤니티가 있다면 커뮤니티 공간에 홍보를 하거나 협조를 요청합니다. (SNS, 카페 등)

      • 주제에 관심이 있는 단체나 관련기관이 있다면 협조를 요청합니다.

  • 실험장 기록

    • 필요한 기록물을 미리 점검하여 누락되지 않도록 합니다.

      • 사진, 영상, 회의록, 문서 기록, 계약서류, 지출증빙서류 등.

  • 실험장 평가 계획 수립

    • 실험장 진행 과정 및 결과에 대한 피드백을 제공할 인원과 채널, 내용을 정합니다.

    • 실험장 경험을 차년도 거버넌스 운영에 어떻게 적용할 수 있을지 판단하는 자료로 활용합니다.

Ⅵ.2. 운영

  • 실험장 실행 과정을 기록합니다. 실행팀에 참여하지 않는 시민들도 실험장 진행과정을 이해하고 의견을 낼 수 있을 정도로 기록을 남깁니다.

    • 기록할 사항과 예시

    • 일시

    • 참석자

    • 회의 내용 : 지난 정기회의 전에 어떤 활동이 진행되었고, 이후 관련 후속조치나 수정사항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

    • 결정사항 : 다음 정기회의 전까지 어떤 사항이 진행될지 예상해볼 수 있습니다.

    • 회고 : 실행팀이 어떤 문제의식을 가지고, 어떤 방향으로 실험장을 실행해나갈지 파악할 수 있습니다.

  • 거버넌스 구성원과 이해관계자의 의견을 수렴합니다.

    • 공개적인 채널에서 기록을 공유하고 의견을 받습니다.

    • 실험 내용 중 참가자가 있다면 참가자 대상 설문조사를 진행할 수 있습니다.

    • 주기적인 실행팀 회고를 통해 실험을 돌아보고 개선하며 진행상황을 공유합니다.

      • 회고 방법

        • 체크인: 모든 사람이 간단한 체크인 질문에 대한 답변과 함께 자기소개, 인사를 나눕니다.

        • 한 사람씩 돌아가면서 '한 일이나 있었던 일, 좋았던 점(성장했다고 느낀 일), 아쉬웠던 점, 느낀 것과 배운 것 등'을 공유합니다.

        • 서로의 회고에 대하여 이야기를 나눕니다. 피드백도 좋습니다.

        • 스스로 개선할 점이 있다면 개선 방안을 세우고, 다음 주 목표를 세웁니다.

        • 각자 만든 개선 방안과 차주 목표를 공유합니다.

        • 체크아웃: 돌아가며 오늘의 소감을 나누고 마무리합니다.

        • 기록 채널에 보관, 공유합니다.

      • 회고 팁

        • 체크인 등을 통해 가볍고 자유로운 분위기를 만들면 참여자의 부담을 적게할 수 있습니다.

        • 서로 피드백을 주고 받을 경우 의사소통 약속을 인지하고, 잘 지켜지지 못할 시 진행자가 어떻게 중재할지도 미리 정하는게 좋습니다.

        • 시간을 잘 지켜서 모두가 충분히 이야기할 수 있게 합니다.

      • 기간은 실행 팀 내부에서 정할 수 있고, 상황에 따라 주기가 달라질 수 있습니다. 일정한 주기로 회고하면 주기에 맞춰 프로젝트를 준비하기 용이합니다.

        • 프로그램 전체 / 주간/ 월간/ 분기

  • 의견수렴을 통해 수정과 실행을 반복합니다.

    • 목표로 정했던 수치, 기간, 사업 종료기준 등을 기준으로 수정합니다.

    • 거버넌스 지속과 확대를 위한 후속작업을 모색합니다.

  • 홍보

    • 실험장 주제와 진행상황을 지역에 알리고, 필요에 따라 실험장 진행 내용 또는 참가자 모집에 관련한 홍보를 진행합니다.

      • 상황에 따라 적절한 홍보 대상 및 매체를 선정합니다.

        • 지역 및 이슈 기반의 네트워크가 존재할 경우 주요 홍보처로 접촉합니다.

      • 정해진 실험장 일정 및 참가자가 필요할 경우 홍보가 확산되는 시기를 감안해 일정기간을 두고 홍보를 진행합니다.

  • 평가 및 회고

    • 실험 진행 과정을 회고 하고, 계획한 목표를 달성 했는지 점검합니다.

    • 실험에 참여한 참가자들의 의견을 묻는 것도 중요합니다.

      • 예시. 교육 프로그램의 경우

        • 연령대, 지역, 소속, 교육만족여부, 향후 추천의향 등

        • (주관식) 좋았던 점, 아쉬운 점, 건의사항

    • 실행팀 자체평가 및 회고를 진행합니다.

      • 실험장을 마무리하며 최종 회고 및 평가를 진행합니다.

      • 후속사업으로 지속할 수 있을지 자체평가와 회고를 진행합니다.

Ⅵ.3. 후속작업

  • 결과 보고서를 작성하고 평가합니다.

    • 계획 단계에서 계획한 산출물의 산출 여부 평가 등, 기준에 따라 평가를 진행합니다.

    • 성공사례 뿐만 아니라 어려웠던 점, 고민이 된 지점 등도 기록하여 공유함으로써 이후 사업에 도움이 되도록 합니다.

    • 참가자(주민 등)에게 피드백을 받은 내용을 반영합니다.

  • 실험 과정 및 결과를 공유합니다.

    • 실험장 진행 과정 및 결과를 정리하고 공개함으로써 실험장에 참여한 사람들 또는 거버넌스 실험에 관심을 가지는 사람들에게 활동을 알릴 수 있습니다. 참여자들의 커뮤니티가 구축되고 지역 내 거버넌스 확산에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 관련 콘텐츠를 제작해 공개합니다. 제작 할 수 있는 콘텐츠의 예시는 다음과 같습니다.

    • 제작한 콘텐츠는 다음과 같은 채널을 통해 공개, 공유할 수 있습니다.

      • 거버넌스 소통과 기록에 활용했던 채널

      • 작은도서관 관련 온라인 카페나 홈페이지

      • 지자체 홈페이지

      • 관계자 또는 관련 기관 SNS, 이메일

작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