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8월 19일 빠띠와 공론장활동가네트워크가 함께 주최한 “다시 시작해볼까? 온라인 기후행동 윗미”가 진행되었습니다. 공론장활동가네트워크는 시민들의 일상 속 민주적인 공론장을 만들어 가기 위해 활동하는 모임으로, 첫 발돋움으로서 빠띠와의 협업을 통해 이번 공론장을 기획하고 진행했습니다.

“다시 시작해볼까? 온라인 기후행동 윗미”는 전 세계적인 화두인 기후위기 문제에 관한 고민에서 출발했습니다. 공론장활동가네트워크는 기후위기 문제에 지속적으로 관심 갖기 위해서 새롭고 재미있고 일상적인 방식이 필요하다고 생각했습니다. 코로나19 이후 온라인을 활용한 다양한 행동이 진행되는 요즘, 공론장활동가네트워크는 ‘온라인 기후행동’에 집중하여 이에 대한 다양한 활동 이야기를 듣고, 개인의 참여 경험을 나누고 또 다른 행동을 상상하는 자리를 마련하고자 했습니다.


발제 1: 기후위기와 민주주의를 걱정하는 당신에게 - ‘더 나은 행동’을 집 앞까지 배달해드립니다

첫 번째 발제는 오늘의행동 사회적협동조합 김서린님의 “기후위기와 민주주의를 걱정하는 당신에게 - ‘더 나은 행동’을 집 앞까지 배달해드립니다”로, 오늘의행동 사회적협동조합에서 진행하는 ‘행동 구독’ 사례를 소개했습니다. 김서린님은 기후위기는 더이상 특정 단체와 기구에서만 다루는 의제가 아니라 모두가 알고 있는 사실이고, 변화를 만드는 주체 역시 평범한 시민이 되어야 한다고 짚었습니다. “역사란 우리가 매일 하는 작은 행동들이 쌓이는 것”이라는 톨스토이의 말처럼 시민이 만드는 변화 역시 각자의 일상에서 시작하며, 이를 더 나은 방향으로 제안하는 것이 ‘행동 구독’의 의의라고 설명했습니다.

‘행동 구독’은 구독을 시청한 사람에게 격월로 행동 제안과 더불어 행동 도구를 배송하는 서비스라고 합니다. 올해 진행한 ‘행동 구독’ 사례로는 소등 캠페인 ‘어스 아워’에 집중하도록 도와주는 밀랍 초, 26가지 야생화를 피워 벌을 보호하는 씨앗 폭탄, 담배꽁초가 해양 쓰레기가 되는 것을 방지하는 그림 도구가 있습니다. 김서린님은‘행동 구독’을 진행하며 고려했던 부분은 일상 속 행동, 관계 중심 행동, 답이 정해지지 않은 행동이라고 설명하며, 앞으로의 온라인 기후행동도 이러한 세 가지 요소를 살피며 나아가면 좋겠다고 덧붙였습니다.

발제 2: 채식한끼로 대응하는 기후위기